신라 경순왕(재위:927∼935) 때 무착(無着)이 창건하였으며, 이후의 연혁이 전하지 않아 절의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다. 《보문암창기(普門庵創記)》에 따르면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불에 탔다가 중창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 중창하면서 관세음보살을 모시고 신행결사도량으로 삼아 절 이름을 보문련사(普門蓮社)라고 불렀으며, 국형사(아랫고문절)의 위쪽이 되므로 '웃고문절'이라고도 한다.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치악산 산자락에 있는 원천석의 묘 앞에는 ‘고려국자진사원천석지묘(高麗國子進士元天錫之墓)’라 새겨진 묘비와 상석이 놓여 있고, 묘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1670년(현종 11)에 세운 묘갈이 있다. 원천석의 유언에 따라 본래 표석을 세우지 않았다가 4대가 지난 후에 묘표가 세워졌다 하는데 묘갈의 글과 전서(篆書)는 조선 중기의 학자 미수 허목(許穆 1595~1682)이 짓고 썼으며, 글씨는 이명은(李命殷)이 썼다.
운채는 토속음식을 주로 취급하며 주 메뉴로는 곤드레밥과, 감자옹심이, 청국장, 닭만두국이 제공되며 통나무집에서 편안하게 즐기시면서 쉴 수 있는 공간이다.
차령산맥의 한 봉우리인 치악산은 최고봉인 비로봉(1,288m)을 중심으로 삼봉, 향로봉, 남대봉, 천지봉 등 1,000m가 넘는 봉우리가 병풍처럼 남북으로 걸쳐 있다. 주봉인 비로봉에서 남대봉까지 남북으로 뻗은 치악 능선은 14km에 달하며, 총 면적 182.09㎢로 1984년에 국립공원이 되었다.
원주에서 동북쪽으로 약 7km가량 나아가면 옛부터 강원도 엿으로 유명한 황골 마을이 있고, 이곳에서 동쪽으로 치악산을 3km 가량 올라가면 높이 50m의 절벽 위에 10m높이로 우뚝 서있는 네모꼴 바위 입석대가 있다. 이 바위와 남쪽 50m 지점에 있는 신선대 사잇길로 들어가면 왼쪽에 입석사가 모습을 드러낸다.